지난 시간에 만든 화면입니다.
이 화면이 아니면 빨리 링크 보고오세요.
https://itmoneytree.tistory.com/36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pYfg/btrtgsIKpAi/eusgo7lKyp5IkoJuXalOUk/img.png)
이제 네모 3개만 더 만들면 됩니다.
사실 브라우저를 열기전에 먼저 해야할 것이 있는데요.
열려있는 브라우저를 종료하는것입니다.
여러 브라우저가 열려있으면 RPA 로봇이 무엇을 선택할지 헷갈려 하기 때문입니다.
먼저 Start와 Open Browser 사이의 화살표를 클릭한 후 Delete 버튼을 눌러서 지워줍니다.
그리고 Kill Process 액티비티를 끌어오세요.
Start 다음 Kill Process, Open Browser 순으로 다시 이어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NLsF0/btrtgsaVN9R/F4inJ4Igbxr9FDEJ6nRJtK/img.png)
역시 Kill Process에 느낌표가 떠있습니다.
더블 클릭해줍니다.
ProcessName에 chrome을 입력해줍니다.
마찬가지로 큰 따옴표 안에 넣어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Le7r/btrtmVin4lt/cUCUjP8EKiQqldfY59AQ6K/img.png)
다시 Flowchart로 돌아오시고요.
실행은 하지 않습니다. 제 블로그 글이 꺼지니까요. 궁금하면 한번 해보셔도 됩니다.
컴퓨터에게 구글 검색 명령을 할 차례입니다.
이제 다시 Open Browser를 더블 클릭합니다.
Open Browser의 Do 박스안에 Type into 라는 액티비티를 끌어온 후, 브라우저 내부에 엘리먼트 표시를 눌러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eJCK/btrtlUqwv5w/5IW6Rv0z3OLYraIQ4ALITK/img.png)
화면을 선택하는 창이 켜지면, 구글 검색창을 눌러줍니다.
*여기서 꿀팁
화면 선택창에서 F2버튼을 누르면 컴퓨터가 우리에게 3초라는 자비로운 시간을 줍니다.
재빨리 화면 전환하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KUSw/btrtk0SgPjC/P79Jk5hx3nP92uRiKKbHDk/img.png)
이제 아래 빈칸에 "RPA"를 입력 후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Enter를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oJ8n/btrtei0KQ2T/n1lllgKc0kBntEKAO34BYK/img.png)
여기까지 했으면 구글 검색까지 완료입니다.
다시 Flowchart로 돌아옵니다.
액티비티 탭에서 Attach Browser를 끌고 옵니다.
Attach Browser는 이미 켜져있는 브라우저에서 어떤 작업을 실행할 때 사용합니다.
더블 클릭해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crTO/btrtakxZ4Ye/hzL8dno4vriKuQRp5ACB3K/img.png)
Attach Browser 안의 브라우저 표시를 눌러 RPA를 검색한 전체 화면을 클릭해줍니다.
이제 변수 하나를 만들겠습니다.
변수는 컴퓨터가 숫자, 문자등 데이터를 담아놓는 바구니라고 생각하세요.
변수 유형은 String, 범위는 Flowchart를 선택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qjr3/btrtb2KCktb/SadZw74QOTqkAHYoC0A720/img.png)
그리고 Attach Browser 안에 보이는 Do라는 박스에 Get Text 라는 액티비티를 추가한 후,
클릭하여 속성, 출력에 위에서 생성한 변수의 이름을 넣어주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zUjL/btrtifblJEv/kcpsc3k0DcF3jU6CgorWfK/img.png)
이제 정말 다왔습니다.
먼저 구글창에서 RPA를 검색한 창을 띄워주세요.
컴퓨터에게 시범을 한번 보여줘야 잘 따라합니다.
Get Text안에 브라우저 내부에 엘리먼트 표시를 눌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iqnr/btrtmWayENB/T58TnZfUU4ZwwIRNTPkkkk/img.png)
3초신공 아시죠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2AOg/btrtb3JxswB/IieEDHAd5wWhoY2VfTs5KK/img.png)
다시 Flowchart로 돌아와서 액티비티의 Message Box를 Attach Browser 밑에 붙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QipZ/btrtjQoRyom/zydZ2OUfN1U9vBG93w2Tf1/img.png)
마지막입니다.
Message Box를 더블 클릭하여 아까 생성했던 변수의 이름을 입력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a7Kp/btrtmVJuxmp/fFx89MNI7SKB3j78Yr99GK/img.png)
F6을 눌러 실행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6XxR/btrtgsIM0x5/SMutwKdLOJc9NztdbkqnFk/img.png)
고생하셨습니다.
미션 성공입니다.
'Fruits > 업무 자동화(UIPATH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아이패스(UIPATH) GMAIL 연동 하는 법 (2) | 2022.07.06 |
---|---|
구글로 검색한 위키백과 내용을 메시지로 출력해보자 - 1편 (Uipath) (0) | 2022.02.14 |
아직도 손으로 직접 일하세요? 전 RPA로 일하는데(feat.Uipath) (0) | 2022.02.14 |
유아이패쓰(Uipath) 스튜디오 설치 및 실습 환경 구성 (4) | 2022.02.14 |
댓글